뿌리로부터

서늘해진 계절을 무사히 날 힘이 여기에 다 있다. 땅의 기운을 머금은 뿌리채소의 맛과 멋. 

연 근 |

연근은 연꽃의 땅속줄기다. ‘근(根)’은 한자로 뿌리를 의미하지만, 엄연히 따지면 물속 진흙에 깊이 박힌 줄기로 보는 게 맞다. 레몬즙에 맞먹는 양의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다는 걸 알면서도 손이 가지 않는다면 구멍 송송 뚫린 생김새 탓일 터. 평균 8~11개 정도 되는 구멍은 물속에서 산소를 공급받고, 땅속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 가을에 수확한 연근은 즙이 많아 특히 맛있다. 아삭하지만 씹을수록 차진 식감의 매력이 극에 달한다. 

| 당 근 |

이맘때쯤 제주 구좌에는 당근 수확이 한창이다. 사시사철 쉽게 구할 수 있다지만 가을, 겨울의 당근은 더 귀하다. 찬 기운을 이겨내고 단단히 여문 덕에 단맛은 배가되고 식감도 아삭해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당근은 표면이 매끈하고 곧게 뻗은 것일수록 달큼한 맛이 강하다. 한국 음식에서는 찜이나 탕에서 푹 익어 부드럽다 못해 말캉해진 당근을 쉽게 맛볼 수 있다. 오도독 씹는 맛을 원한다면 새콤달콤한 오일 드레싱에 버무린 당근 라페가 제격이다.

| 우 엉 |

길게는 땅속 60cm까지 뿌리를 내리는 우엉은 향이 진한 채소다. 바싹 말려 차로 우려 마실 때 특유의 쌉쌀한 흙내를 제대로 느낄 수 있다. 흙이 묻은 상태로 신문지에 둘둘 말아 냉장 보관하면 풍미가 오래 유지된다. 항산화 작용에 탁월한 사포닌은 껍질에 많다. 우엉의 진가를 제대로 맛보고 싶다면 흙과 불순물은 칼등으로 살짝 손질해 껍질째 먹어보길. 발암 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한다고 알려진 리그닌은 우엉을 자를 때 생성된다. 가늘게 채 썬 우엉 요리가 많은 이유다.

| 고 구 마 |

편의점 앞이 고소한 고구마 냄새로 진동한다는 건 날이 추워졌다는 신호다. 으슬으슬 찬 바람이 불 때의 고구마는 어느 때보다 달다. 퍼석하고 단단한 밤고구마나 촉촉한 물고구마도 좋지만, 단호박처럼 속이 노란 호박고구마의 당도를 따라갈 자는 없다. 생으로 먹는 고구마는 밤과 비슷한 맛이 난다. 손으로 만졌을 때 물기가 느껴질 만큼 촉촉하다. 찐고구마를 크게 베어 물 때 이 사이사이에 끼는 가는 심지는 섬유질로 이뤄진 것이다. 양질의 식이섬유는 모두 이곳에 모여 있다. 줄기는 볶음이나 무침으로, 잎은 김치나 장아찌로도 먹으니 뿌리부터 잎까지 버릴 게 하나도 없다.

| 무 |

‘가을 무 꽁지가 길면 겨울이 춥다’는 말이 있다. 무는 뿌리에 영양을 저장하는 대표적 덩이뿌리채소라는 점에서 일리 있는 말이다. 예년보다 추워진 가을, 무가 살아남기 위해 택할 수 있는 방법은 비교적 따뜻한 땅속으로 뿌리를 깊이 내리는 것이다. 여름 무는 수분이 많고 알싸한 맛이 강하다면, 가을 무는 훨씬 달고 고소하다. 가을 무의 껍질은 속살에 비해 비타민 C 함량도 2배 가까이 높다. 매운맛을 내는 글루코시놀레이트 성분은 무를 상처로부터 보호하려고 생성된다. 이로 베어 물어 씹을 때 매운맛이 극대화되는 셈이다. 무의 항암·항균 기능은 이 성분에서 비롯된다니 매운 무도 환대받아 마땅하다.

| 마 |

마가 자양 강장에 탁월하다는 건 ‘산에서 온 장어’라는 별칭만 봐도 알 수 있다. 뮤신 성분은 마의 효능을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요소. 생마의 단면을 썰었을 때 묻어나는 미끈한 점액질이 그것이다. 단백질의 소화를 돕고 위벽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니 속이 쓰리거나 위에 탈이 났을 때 마를 갈아 마시면 좋다. 열을 가하면 영양소가 파괴되니 생으로 먹는 것이 가장 좋지만, 특유의 끈적임이 힘들다면 우유나 요구르트를 섞어 갈아 마시는 것도 방법이다. 

에디터
고영진
포토그래퍼
HYUN KYUNG JUN

READ MORE

    SNS 공유하기